본문 바로가기

꿀정보대방출/팩트체크

지진 났을 때 높은 건물로 대피하라고?

728x90
반응형

“지진 났을 때 높은 건물은 더 위험하지 않나요?” 직관적으로 보면 ‘높은 건물이 더 많이 흔들리니까 위험하다’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실제로는 반대의 경우도 많습니다. 오늘은 왜 높은 건물이 오히려 더 안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왜 그렇게 오해하게 되었는지,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높은 건물이 더 안전할 수 있는 이유

1. 더 엄격한 내진 설계 기준

고층 건물은 높이만큼 지진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부터 보다 정밀하고 강력한 내진 설계를 적용합니다. 구조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분산하는 설계로, 실제로 지진에 더 잘 견디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더 깊고 단단한 기초

낮은 건물은 땅속에 지지대를 일정 깊이만 박고 건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높은 건물은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암반층까지 깊게 기초를 다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기초공법은 건물 전체를 단단하게 고정시켜, 지진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합니다.

3. 자재와 시공 기준이 더 엄격함

고층 건물은 사용되는 자재나 시공 방식도 법적으로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받습니다. 그래서 동일한 진도에서도 상대적으로 피해가 덜한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사례는 어땠을까?

실제로 국내외 여러 지진 사례를 보면, 낮은 건물이 무너진 사례가 더 많았습니다.

  • 2016년 경주 지진, 2017년 포항 지진 당시에도 일부 낮은 상가, 노후 주택들이 큰 피해를 입었고, 고층 아파트나 빌딩은 구조적 손상 없이 버텨낸 사례가 많았습니다.
  • 일본 고베 대지진에서도 피해의 대부분은 저층 목조건물이나 오래된 건축물에서 발생했습니다.

이런 사례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높은 건물은 더 위험하다”는 생각이 반드시 맞는 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높은 건물이 더 위험하다고 느끼는 이유

우리가 높은 건물이 위험하다고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영화나 뉴스 영상에서 받은 이미지 때문입니다.

  • 헐리우드 영화에서는 고층 빌딩이 무너지는 장면이 자주 등장합니다.
  • 뉴스에서는 고층 건물의 크게 흔들리는 영상이 반복적으로 방송되죠.

이런 장면들은 시각적으로 매우 강렬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뇌리에 “높은 건물 = 불안정”이라는 이미지를 각인시켜버립니다. 하지만 실제 건물 구조나 통계적으로 보면, 낮은 건물이 더 많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은 꼭 기억해야 합니다.

지진 발생 시 안전하게 대피방법

  1. 흔들림이 시작되면 즉시 몸을 보호하세요.
    책상 밑, 단단한 가구 아래에서 머리와 목을 보호합니다.
  2. 흔들림이 멈춘 후 침착하게 이동합니다.
    높은 건물에 있을 경우,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해 대피하세요.
  3. 야외에서는 전신주, 유리창, 간판 등 낙하물에 주의하세요.
    가능하면 공터나 공원 등 탁 트인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마무리

지진이 발생했을 때 중요한 것은 건물의 높이보다 건물의 구조와 내진 설계 수준입니다. 높은 건물이 무조건 위험하다는 오해는 이제 버려도 됩니다. 중요한 건 우리가 냉정하게 대처하고, 미리 대비하는 것입니다. 실제 사례와 구조적인 이유를 통해, 조금 더 안심하고 행동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렇다고 오래된 높은건물에 들어가시는 분들은 안계시겠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