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정보대방출/팩트체크
MZ세대의 은어, 신조어와 뜻 top10
요정만세
2025. 3. 26. 10:10
728x90
반응형
요즘 청소년들과 MZ세대 사이에서는 일상 대화 속에서 다양한 은어와 신조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끔 아이들이랑 얘기 하다 보면 소통이 안될때도 있죠. 그래서, 오늘은 요즘 아이들이 자주 쓰는 은어 10 가지를 소개하고, 그 의미에 대해서 정리 해 볼게요.
물론입니다! 앞서 정리한 두 개의 내용을 바탕으로, **각 은어가 어떻게 생겨났는지(어원)**까지 포함해 더 완성도 높은 블로그 포스팅으로 정리해드릴게요. 요청하신 대로 컬러 이모티콘과 구분선 없이 깔끔한 스타일로 작성하였습니다.
1. 억까
제가 제일 싫어하는 말인데 대체 왜이렇게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뭐, 따지고 보면 은어는 대체로 제 귀에 거슬리긴 하지만요. 어쨋든 정리 해 봅니다.
- 뜻: 억지로 까다(비난하다)의 줄임말
- 예문: “그건 진짜 억까야. 아무리 그래도 욕할 일은 아니지.”
- 바른 말: “터무니없는 비난이야.” / “이유 없이 흠잡는 건 옳지 않아.”
- 어원: ‘억지로’ + ‘까다(비난하다)’의 합성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특정 인물에 대해 과도하게 비난하는 행위를 지칭하며 유행하게 됨.
2. 삼귀다
- 뜻: 사귀기 전 단계에서 썸 타는 사이
- 예문: “요즘 걔랑 삼귀는 중이야.”
- 바른 말: “요즘 썸 타고 있어.” / “이제 막 서로 알아가는 중이야.”
- 어원: ‘사귀다’의 숫자 ‘4’를 한 단계 낮춘 ‘3’을 붙여 만든 표현. 정식 연애 전 단계를 숫자로 재치 있게 표현.
3. 손민수하다
- 뜻: 누군가를 따라하다, 특히 패션이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함
- 예문: “아이유 팬이라 손민수해서 똑같은 가방 샀어.”
- 바른 말: “그 사람을 따라 했어.” / “그 사람처럼 해봤어.”
- 어원: 웹툰 <치즈인더트랩>의 등장인물 ‘손민수’가 주인공을 따라 하는 장면에서 유래. 팬 문화에서 유행하며 일반화됨.
4. 갓생
- 뜻: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사는 삶
- 예문: “요즘 나 진짜 갓생 사는 중이야.”
- 바른 말: “요즘 부지런하게 살고 있어.” / “열심히 자기관리를 하고 있어.”
- 어원: ‘갓(God, 신)’ + ‘인생’의 합성어로, 신처럼 완벽하게 사는 삶이라는 의미. 자기계발 열풍과 함께 유행.
5. 스불재
- 뜻: 스스로 불러온 재앙
- 예문: “밤새 게임만 하다니 스불재네…”
- 바른 말: “내가 자초한 일이야.” / “내 선택이 불러온 결과야.”
- 어원: ‘스스로 불러온 재앙’의 앞 글자를 따 만든 신조어. 짧고 간결해 인터넷에서 빠르게 퍼짐.
6. 쫌쫌따리
- 뜻: 자잘하게 조금씩 하는 행동 또는 귀엽게 소소하게 하는 모습
- 예문: “쫌쫌따리 모은 돈으로 명품 샀어.”
- 바른 말: “조금씩 차근차근 모은 돈이야.”
- 어원: 전라도 사투리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조금조금 따로따로’라는 어감에서 비롯된 의성어 느낌의 표현.
7. TMI
- 뜻: 필요 이상으로 많은 정보, 굳이 알 필요 없는 말
- 예문: “그건 좀 TMI 아냐?”
- 바른 말: “그건 좀 과한 정보야.” / “꼭 알 필요는 없는 얘기 같아.”
- 어원: 영어 ‘Too Much Information’의 약자. 원래는 영어권에서 쓰였으나 한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유행하며 자주 사용됨.
8. 만반잘부
- 뜻: 만나서 반가워, 잘 부탁해
- 예문: “처음 뵙겠습니다! 만반잘부예요~”
- 바른 말: “만나서 반갑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어원: 인사말을 줄여 간결하게 만든 표현.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 초면 인사로 널리 퍼짐.
9. 쿠크다스 멘탈
- 뜻: 마음이나 정신력이 쉽게 무너지는 상태, 멘탈이 약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
- 예문: “시험 망치고 멘탈 와장창... 나 쿠크다스 멘탈인가 봐”
- 바른 말: “멘탈이 약해진 것 같아” / “요즘 마음이 쉽게 무너져”
- 어원: 과자 '쿠크다스'는 겉은 바삭하고 쉽게 부서지는 식감으로 유명한데, 이를 사람의 정신 상태에 빗대어 만든 표현. 누군가가 스트레스나 충격에 쉽게 무너질 때 "쿠크다스 멘탈"이라고 사용하는데 나는 유리멘탈로 많이 사용했다.
10. 쩐다
- 뜻: 매우 멋지거나 대단하다
- 예문: “와, 이거 진짜 쩐다!”
- 바른 말: “정말 멋지다.” / “엄청나게 대단하네.”
- 어원: 원래는 부정적인 의미의 속어였으나, 최근에는 긍정적으로 강한 감탄을 나타내는 말로 재해석되어 사용.
맺음말
은어는 세대별 문화와 감성이 반영된 언어입니다. 무조건 피해야 할 말은 아니지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바른 표현으로 바꿔 쓰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자녀나 학생과의 대화에서도 이런 은어를 알고 있다면 더 가깝게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되겠죠.
반응형